Architecture (4) 썸네일형 리스트형 [Architecture] Clean Architecture 안녕하세요 제인입니다 :) 유연한 설계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클린 아키텍처에 대해 쫌쫌따리로 공부는 하고 있었지만, 머릿속에 확실하게 개념이 잡혀있진 않은 상태였는데.. 이제는 프로젝트에 적용까지 해보고 싶어서 클린 아키텍처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Robert C. Martin의 The Clean Architecture 라는 글을 번역해보면서 클린 아키텍처 개념에 대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Clean Architecture란? 클린 아키텍처는 Robert C. Martin(aka 엉클밥, 밥아저씨)에 의해 고안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밥아저씨가 클린 아키텍처를 대체 왜 만들게 되었냐.. 하면! 기존의 여러 아키텍처에서 유사성을 찾았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아키텍처들은 세.. [iOS/Architecture] Coordinator Pattern 안녕하세요 제인입니다! 오늘은 참여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도입하게 된 코디네이터 패턴에 대해 정리해보려합니다. 코디네이터를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는 것이 처음이라 공부를 하면서 적용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디네이터 패턴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정도로만 정리하고, 다른 포스팅으로 구체적인 적용기를 들고오도록 하겠습니다!! 이 점 참고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Coordinator Pattern을 도입하게 된 계기 MVVM 아키텍처를 적용해 UI와 비즈니스 로직 코드를 분리해서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화면전환은 어디서 해줘야하는거지..? 라는 의문이 들었었는데요, 화면전환이 따지고 보면 UI와 관련된 부분은 아니지만 ViewController가 다음 화면을 present 해주어야하니까.. [Architecture] VIPER 패턴 안녕하세요, 제인입니다! 최근 시작한 아키텍처 및 디자인 스터디에서 첫번째로 주제로 다루었던 VIPER 아키텍처 패턴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VIPER Pattern이란? View, Interactor, Presenter, Entity, Router의 약자를 따와서 VIPER라는 이름이 명명된 단일책임원칙 기반의 아키텍쳐입니다. 응집도는 높고 결합도는 낮은 형태로, 아무래도 각각의 구분이 많은 만큼 역할 단위의 구분이 명확합니다. (이것이 뭔가 장점이 될 수도 단점이 될 수도 있는 것 같긴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으로 표현해봤는데요, 하나씩 살펴봅시다! View : 어떤 패턴이든 사용하는 View 역할입니다. 주로 UIViewController, UIView들이 이 역할.. [Architecture] MVC, MVP, MVVM 아키텍처 패턴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키텍처 패턴 몇가지에 대해 정리해볼까 합니다! 아키텍처에 대해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한 이유는 MVC 패턴으로 개발하며 VC가 모든 역할을 담당하다보니 점점 무거워지는 것을 느꼈고.. 이러한 MVC 패턴의 단점에 대한 대안으로 MVVM 패턴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 MVC, MVP, MVVM 아키텍처 패턴에 대해 차이점을 위주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아키텍처 패턴이란? 먼저, 아키텍처 패턴이란 무엇일까요?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아키텍처 패턴이란, 주어진 상황에서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쳐의 공통적인 발생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재사용 가능한 해결책을 의미한다. 아키텍처 패턴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과 유사하지만 더 큰 범주에 속한다. 간단히 말하면, 아키텍처 패.. 이전 1 다음